3.14
[1] 3.14
"stroke"
[1] "stroke"
TRUE
[1] TRUE
R 세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값(value)라고 하고 한다. R에서 값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.
1
, 3.14
처럼 숫자는 그대로 입력한다."stroke"
, 'peripheral'
처럼 문자열은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를 감싸서 표현한다.
TRUE
또는 T
, FALSE
또는 F
처럼 따옴표 없이 사용한다.NA
로 표시한다.R 프롬프트에서 값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그 값이 바로 출력된다.
3.14
[1] 3.14
"stroke"
[1] "stroke"
TRUE
[1] TRUE
값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할당(assignment)라고 하고 <-
연산자를 사용한다.
다음 코드는 85
라는 정수에 wt
라는 이름을 부여하고, 180
에 ht
라는 이름을 할당한다.
<- 85
wt <- 180 ht
<- wt / (ht / 100)^2
bmi bmi
[1] 26.23457
R에서 이름을 만들 때는 알파벳으로 시작하고, 그 이후에 숫자나 언더스코어(_
) 등을 붙여서 만든다. 한글 이름도 사용할 수는 있다. 하지만 보통 컴퓨터 코드는 ASCII 코드로 작성하는 것이 기본이다.
할당을 할 때 =
연산자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, 보통 이것은 R 함수에서 인자의 값을 할당할 때 주로 사용된다.
수학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들이 모두 지원된다.
# 사칙연산
3 + 5
## [1] 8
5 - 2
## [1] 3
5 / 2
## [1] 2.5
5 * 3
## [1] 15
# 거듭제곱
5**2
## [1] 25
5^2
## [1] 25
다음은 비교 연산자 사용 예이다. 비교 연산은 논리값을 반환한다.
5 > 3 # 큰가?
## [1] TRUE
3 <= 5 # 작거나 같은가?
## [1] TRUE
5 == 5 # 같은가?
## [1] TRUE
4 != 5 # 다른가?
## [1] TRUE
논리 연산자도 있다. ||
는 OR, &&
는 AND를 의미한다. 하나로 된 |
, &
는 벡터를 대상으로 하는데 나중에 설명하고자 한다.
5 > 3) && (4 > 3) (
[1] TRUE
5 > 3) && (4 < 3) (
[1] FALSE
5 > 3) || (4 < 3) (
[1] TRUE
더 자세한 내용은 Advanced R, Chapter 2, Names and values을 참고한다.ㄴ